2장 HTML5 개요
2-1 HTML5 문서의 기본구조
- HTML5 문서는 순수한 텍스트로 이루어진 태그(tag)라는 요소(element)들로 구성되는데 기본적인 구조는 <그림 2.1.1>과 같다.

<그림 2.1.1> HTML5 문서의 기본 구조, <body> 태그 안의 본문이 브라우저에 보임
- HTML5 문서는 <!doctype html> 지시어로 시작되는데 이 문서가 HTML5 문서임을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것으로서 반드시 첫줄에 나와야 한다. 이것은 HTML 태그는 아니며 소문자나 대문자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.<그림 2.1.1> HTML5 문서의 기본 구조, <body> 태그 안의 본문이 브라우저에 보임.
- 그 다음은 대개 HTML5 문서의 내용을 설명하는 주석문을 적는다. 주석문은 <!– 로 시작하고 –> 로 끝나는데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. 문서 내의 어느 곳에 위치해도 좋다.
- HTML5 문서는 <html> 태그로 시작되어 </html>이라는 태그로 끝이 난다. 이 사이에 웹페이지 제목 등을 적을 수 있는 <head> </head>, 문서의 내용을 적는 <body> </body> 등이 위치한다.
- <head> </head> 태그는 문서의 머리말에 해당되는 부분을 작성하는데 대개 웹페이지의 제목을 지정하는 <title> </title> 태그를 포함한다. 본문을 설명하는 메타 태그, JavaScript 코드, CSS 스타일을 포함할 수 있다.
- <body> </body> 태그는 문서의 본문 내용을 작성한다. 이 <body> </body> 태그는 제목을 지정하는 <h1> </h1> 이나 문단의 지정을 의미하는 <p> </p> 와 같은 여러 개의 태그를 포함한다. 여기에는 JavaScript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.
- <head>와 <body> 사이에는 아무것도 넣어서는 안 된다.
- HTML5 문서는 간단히 모든 PC에 설치되어 있는 메모장(Notepad)을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. ᄒᆞᆫ글, MS Word 등의 워드 프로세서에서 작성하여 텍스트 파일 형태로 작성할 수 있다. 이때 파일명의 확장자는 htm 또는 html을 사용한다.
- htm 확장자 파일을 클릭하면 기본으로 설정되어있는 웹브라우저에 파일 내용이 나타난다.
- 전문적인 HTML 편집기로는 MS사의 WebMatrix, 에디트 플러스(EditPlus), 아크로 에디터(AcroEditor), 크림슨 에디터(Crimson Editor), 아톰(Atom) 등이 있는데 이러한 HTML 편집기는 HTML 명령문의 문법이 맞는지 체크해주고, 태그/일반 문자열/주석/숫자 등을 서로 다른 색깔로 표현하여 읽기 좋게 만들어 주어 편리하다.
- [예제 2.1.1] 노트패드를 이용하여 ‘EX020101.htm’ 문서를 만들고 이를 크롬과 익스플로러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살펴보자.

<그림 2.1.2> EX020101.htm 파일의 저장
- 파일을 만든 후 ‘EX020101.htm’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(또는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(예 C:웹데이터시각화EX020101.htm)를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) 기본으로 설정된 웹브라우저에 이 파일의 내용이 나타난다. 모든 태그는 보이지 않고, 웹브라우저 왼쪽 상단에 제목이 나타나며, <body> </body> 태그 사이에 있는 내용이 화면에 나타난다. <그림 2.1.3>은 익스플로러에서 본 EX020101.htm 파일이고 <그림 2.1.4>는 크롬에서 본 같은 파일이다.
EX020101.htm |
<!DOCTYPE html>
<html> <head> <title> 나의 첫 HTML 문서 </title> </head> <body> <h1> 작성자: 이정진 </h1> <p> 내용 : HTML 문서 양식을 소개하기 위한 예제입니다. </body> </html> |
<풀이>
- 이 파일의 첫 행은 HTML5 문서의 시작을 알리는 <!DOCTYPE html>으로 시작한다.
- 그 후에는 기호 < > 으로 시작하고 </ > 끝나는 한 쌍의 명령어 조합(이를 태그(tag)라 함)으로 이루어져 있다.
- 시작 태그와 끝 태그 사이에 웹문서에 적고자 하는 내용(제목, 작성자, 내용)이 들어있다. <html>과 </html> 태그 사이에는 HTML 문서의 전체 내용이 설명된다.
- <head>와 </head> 태그 사이에는 문서의 제목(<title>과 </title> 태그)을 넣는 태그가 위치하여 문서가 설명된다.
- <head> 태그보다 <title> 태그를 들여쓰기 하였는데 이는 구조체 형식으로 보기 좋게 한 것으로 반드시 이렇게 할 필요는 없고 이 방법을 사용하면 에러를 줄일 수 있다.
- <body>와 </body> 태그 사이에는 브라우저에 보이는 본문의 내용이 설명되는데 <h1> </h1> 및 <p> </p> 태그를 이용하여 제목 글자의 크기를 지정하고 문단형식에 대한 지정을 한다. 이러한 명령어의 자세한 설명은 다음 절부터 연구한다.
- 파일에서 빈 행은 큰 의미 없이 보기 좋게 띄어 놓은 것이어서 없어도 좋다.
- HTML 파일을 만든 후 주메뉴의 파일 ⇒ 다른 이름으로 저장(A) 를 선택하면 <그림 2.1.2>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, 파일이름(N): 을 EX020101.htm 으로 하고 인코딩(E): 방식은 여러 웹브라우저에서 사용하는 UTF-8을 선택한 후 저장한다. 기본인 ANSI나 유니코드 방식을 사용하면 어느 웹브라우저에서는 글자가 깨져서 보일 수 있다.

<그림 2.1.3> 익스플로러에서 본 EX020101.htm 파일

<그림 2.1.4> 크롬에서 본 EX020101.htm 파일
⇒ 텍스트 파일의 문자저장 방식 UTF-8, ANSI, 유니코드 |
-
UTF-8 (Universal Coded Character Set + Transformation Format – 8-bit)은 파일의 문자 저장 방식 중 하나이다. 웹 작업시나 데이터베이스 작업에는 UTF-8 방식이 많이 이용된다.
-
ANSI는 영어문자 작업시 많이 이용한다.
-
유니코드는 한글과 같은 2 바이트 문자의 표준이다.